오늘은 바로 내일로 다가온 우리의 세시풍속이자 또 다른 명절인 정월 대보름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평소에는 그냥 보름달이 뜨는 날로만 생각하고 지나갔던 기억이 대부분이었는데 마트에 부럼의 하나인 땅콩과 호두를 판매하는 것을 보고 올해에는 챙겨보는 시간을 가지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정월 대보름 의미와 유래
우선 앞서 세시풍속이라는 말이 무엇인지부터 설명하자면 해마다 일정한 시기에 반복적으로 행해 온 우리나라 고유의 풍속을 말한다. 그렇다면 이에 속하는 정월 대보름의 정확한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자. 정월 대보름은 매년 음력 1월 15일이며, 한 해의 첫 보름이자 보름달이 뜨는 날을 말한다. 대보름이 질병이나 재앙, 어두운 기운을 이로부터 풀려나 농사가 잘되고, 복을 받을 수 있는 날이라 여겨 보름달이 뜨는 날 소원을 빌고 동제를 지내는 것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또한 보름달은 농경사회였던 우리나에겐 풍요를 상징하기 때문에 그 의미는 더욱 중요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정월 대보름과 관련된 속담이 있길래 적어본다. 첫 번째는 '설은 나가서 쇠어도 보름은 집에서 쇠어야 한다'라는 속담으로 설에 부득이하게 집에 돌아가지 못하더라도 보름에는 꼭 돌아와야 한다는 의미이다. 두 번째는 '설은 질어야 좋고 보름은 밝아야 좋다'라는 속담으로 설은 눈이 많이 와야 좋고 보름은 밝고 환한 달이 떠야 풍년이 들어서 좋다는 의미라고 한다. 이 두 속담만 보더라도 선조들에게 정월 대보름의 의미가 얼마나 중요했는지 엿볼 수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정월 대보름 음식
정월 대보름 음식에는 오곡밥과 묵은 나물, 부럼, 귀밝이술 등이 있다.
오곡밥과 묵은 나물
오곡밥은 가을에 추수한 쌀, 팥, 조, 콩, 수수등의 5가지 곡식으로 지은 밥으로 그 해의 농사가 잘되기를 바라며 액운을 쫓는다는 의미로 먹었다고 한다. 또한 오곡밥은 다른 성을 가진 세 집 이상의 밥을 나누어 먹어야 그 해의 운이 좋다고 믿어 서로 나눠 먹었다고 한다. 때문에 아이들은 조리나 소쿠리를 들고 이웃집을 돌아다니며 오곡밥을 얻어먹곤 했으며 그날 하루 동안 아홉 번을 먹어야 좋다고 믿었고 밥을 여러 번 걸쳐 나눠 먹는 것은 한 해 동안 부지런히 살라는 뜻이라고 한다.
오곡밥과 함께 먹는 묵은 나물은 호박, 가지, 버섯, 고사리, 시래기 등의 야채를 말려 저장해 두었다가 데치거나 삶아서 먹었다고 한다. 또한 정월 대보름날에 묵은 나물을 먹으면 1년 동안 더위를 먹지 않는다는 이야기도 있다.
부럼 깨기
솔직히 나는 부럼이라는 단어만 익숙했지만 부럼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몰랐다. 알고 보니 밤, 잣, 호두, 땅콩, 은행과 같은 딱딱한 견과류를 부럼이라고 말한다고 한다. 또한 정월 대보름에 하는 부럼 깨기는 이러한 딱딱한 견과류를 깨물어 먹는 것을 뜻하며 이것은 한 해 동안의 부스럼 예방을 기원하는 것이라고 한다. 또한 부럼을 깰 때 나는 '딱!' 하는 소리가 잡귀를 물리친다고 믿었다고 한다. 방법은 전날 깨끗하게 준비한 부럼을 보름날 아침에 어금니로 힘주어 단번에 깨물면서 '부럼 깨물자' 혹은 '올 한 해 무사태평하고 부스럼 안 나게 해줍소사."등의 축원을 함께 외쳤다고 한다. 또한 부럼은 자신의 나이수대로 깨물어먹었는데 첫 번째로 깨문 것은 주언과 함께 마당이나 지붕에 던지고 두 번째 깨문 것부터 먹었다고 한다.
귀밝이술
귀밝이술은 정월 대보름 날 아침 식사를 하기 전 귀가 밝아지라고 마시는 술로 이명주, 명이주라고도 불렸다고 한다. 또한 귀밝이 술을 마시면 귀가 밝아지고 일 년 동안 즐거운 소식을 듣는다고 한다. 귀밝이 술도 부럼 깨기와 비슷하게 이를 마실 때 '귀 밝아라, 눈 밝아라'라는 덕담을 함께 나누곤 했다고 하며 데우지 않고 차게 마신다는 점에서 잡귀를 쫓는 벽사의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서였던 거라고 알려져 있다.
정월 대보름 민속놀이
정월 대보름에 하던 민속놀이에는 줄다리기, 쥐불놀이, 차전놀이, 달맞이, 달집 태우기, 지신밟기 등이 있다고 한다. 특히 달집 태우기는 소나무 가지 등을 쌓아 올린 더미에 불을 붙여 태우며 액운을 태워버리고, 가정의 평안과 만복을 기원했던 행사라고 한다. 현재 여러 곳곳에 정월 대보름을 맞이하여 여러 가지 행사들을 개최한다고 하니 근처라면 방문하는 것도 좋은 추억이 될 듯싶다. 또한 아무래도 정월 대보름 민속놀이에는 불을 사용하는 놀이가 많으므로 좀 더 신경 써서 주의하기를 바란다.
마치며
나는 평소 같았으면 지나쳤을 정월 대보름을 올해는 챙겨보려고 한다. 마침 정월 대보름 당일인 내일은 전국이 맑을 전망이라서 둥근 보름달을 볼 수 있을 거라는 기상소식에 더없이 정월 대보름을 즐길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선조들처럼 아침에 일어나 부럼을 깨고 귀밝이술을 차게 마시며 오곡밥을 먹고 저녁에는 둥근 보름달을 보는 등의 하루를 보내며 올 한 해는 평안하고 좋은 일들만 가득하기를 소망해 본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리브영 1만 명 개인정보 유출 7일 지나고 공지 (0) | 2023.02.23 |
---|---|
오늘부터 바뀌는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조정 1단계 (0) | 2023.01.30 |
오늘만 두 번의 LG 유플러스 인터넷 접속 장애 (0) | 2023.01.29 |
2023 설특선 영화 편성표 (0) | 2023.01.21 |
돌아온 연말정산 바뀐 부분과 간소화 서비스 유의사항 (0) | 2023.01.17 |